
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4일 오후 온라인 긴급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방역 강화 조치를 오는 18일까지 2주 동안 시행한다고 밝혔다.
조치에 따라 마트, 백화점, PC방, 오락실, 독서실, 스터디카페, 놀이공원, 이·미용원 등 일반관리시설로 지정된 업장은 오후 9시 이후 모두 문을 닫아야 한다.
다만, 필수적인 생필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300㎡ 미만의 소규모 편의점 운영과 음식점의 포장·배달은 허용했다.
대중교통 야간 30% 감축 운행도 시내버스의 경우는 5일부터, 지하철은 8일부터 오후 9시로 1시간 앞당겨 시행한다. 서울시는 야간 감축 운행이 서울지하철 외 구간에서도 연계되도록 국토교통부, 한국철도공사(코레일)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.
시와 자치구, 투자출연기관이 운영하는 도서관, 박물관, 공연장 등 공공 이용시설 운영은 시간과 관계없이 전면 중단한다. 하지만, 사회복지시설은 돌봄 유지를 위해 일부 허용키로 했다. 더불어 서울에 위치한 국공립시설도 같은 조치가 적용되도록 정부에 요청할 예정이다.
이와 함께 출근시간 대 유동인구 분산을 위해 서울시, 25개 자치구, 25개 시 투자출연기관은 8일부터 2분의 1 재택근무와 시차출퇴근제를 실시한다. 민간 부문도 2분의 1 재택근무와 시차출퇴근제에 동참할 수 있도록 서울상공회의소, 중소기업중앙회에 협조를 요청했다.
서 권한대행은 "생업에 필요한 최소한의 경제·사회 활동을 제외한 이동과 활동을 중단하는 선제적 긴급조치"라며, "전반적인 경제·사회 활동이 마무리되는 밤 9시 이후 도시의 불을 끄겠다"고 전했다.